나다. 이 글이 뭐하는 글이냐면 저번 글에서 영속성 컨텍스트의 개념과 엔티티의 상태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제 실질적으로 persist를 통해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집어넣었을 때 일어나는 동작들과 영속성 컨텍스트의 부속적인 요소 등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. 그래서 영속성 컨텍스트의 특징과 장점은? 1. 영속 상태의 엔티티는 무조건 식별자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. - JPA는 식별자 값을 통해 컨텐츠를 구분한다. 없으면 안됨. 2. Flush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와 영속성 컨텍스트의 동기화. - Flush를 통해 영속성 컨텍스트에 일어난 변화를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한다. 3. 1차 캐시 캐시데이터 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. 우리가 자주 가는 웹사이트들은 어쩐지 로딩이 존X 빠르다고 느끼며 "오 역시 ..